-
That's a long shot - 긴 사정거리라는 뜻이 아닙니다영어, 가깝고도 먼 그대여/알쏭달쏭 일상영어 2021. 9. 30. 14:51
안녕하세요, 랭마스터입니다.
영어를 어느정도 공부하시는 분들은 어째 일상용어는 말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고 느끼시기도 할거에요.
직역을 했을 때 전혀 다른 뜻이 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당연하다면 당연한 겁니다.
어느 나라 말에도 있지요 사실. 멀리 볼 것도 없이 우리나라도 "애쓴다~" 이런 표현은 이 말을 처음 접한 외국인이 생각해 봤을 때 당연히 "...? Using child...? What??" 이러겠죠 아마 ㅋㅋㅋ
오늘은 그런 표현 중에 하나인 that's a long shot를 살펴보겠습니다.
사전적인 뜻은 뭘까요?
사격, 양궁 등 목표물에 뭔가를 쏘거나 날리는 종목에서 쓰는 긴 사정거리 사격. 맞습니다.
우리가 일상적인 대화를 하다가 이 말이 나와도 똑같이 해석하기 쉽죠. 하지만 그러면 너무 다른 해석이 됩니다.
그렇다고 전혀 생뚱맞은 뜻일까요? 그렇지도 않습니다.
이 표현은 단어 자체의 뜻으로 볼 게 아니라 그 안에 있는 의미를 끌어내 봐야 하는 말입니다. 그 의미가 이 말의 뜻을 결정합니다.
쏘는 물체가 총알이든 양궁화살이든 공이든, 사정거리가 길면 어떻게 될까요?
네, 그만큼 맞추기 힘들어집니다.
거리가 멀어지면서 사람의 눈으로 볼 때의 정확도도 떨어질 것이고, 그 거리를 뚫고 지나가는 동안 생기는 변수들이 무수히 많기 때문이죠.
즉, 확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도달하기 어려운 목표, 혹은 가능성이 낮은 일을 표현할 때 이 말을 씁니다.
예문을 한 번 볼까요?
A: "I want to get this job, make lots of money and leave for a year-long vacation two years later."
B: "Two years? Well, that's a long shot. How much money do you think you'll make from that job?"
여기서 사정거리가 기네? 라고 해석하면 B는 완전 동문서답한 게 되겠지만 앞서 말한대로 도달하기 어려운 목표, 혹은 가능성이 낮은 일이라고 쳤을 때 "그거 가능성이 낮은 일인데?" 또는 이게 좀 부자연스럽다면 이렇게도 의역할 수 있습니다: "그거 쉽지 않겠는데?"
의역한 것을 가지고 다시한 번 해석을 해볼까요?
A: "나 이 일을 해서 돈 많이 벌어서 2년 후에 1년동안 휴가갈거야."
B: "2년 후? 그거 쉽지 않겠는데? 그 일 하면 얼마 벌 수 있을 거 같아?"
That's a long shot 은 생각보다 많이 쓰이는 표현입니다.
알아두셨다가 누군가 이 얘기를 하거나 본인이 써야한다 싶을 때 비장의 카드로 꺼내시길 바랍니다.
'영어, 가깝고도 먼 그대여 > 알쏭달쏭 일상영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럽다는 말을 I envy you 라고 하시나요 (0) 2021.11.11 I wanted...so bad (0) 2021.07.24 교과서에서 보기 힘든 were you able to....? (2) 2021.07.22